금성 3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성 3호는 북한이 러시아의 Kh-35E '우란' 대함 미사일을 역설계하여 개발한 해안 미사일 시스템이다. 2017년 미국 첩보위성에 의해 동해상에서 처음 포착되었으며, 2015년 농어급 스텔스 고속함에 장착되었다. 금성 3호는 4연발 발사대 차량에 탑재되며, 최대 220km까지 비행하는 시험 발사를 거쳤다. 서방에서는 KN-9으로 불리기도 하며, 핵탄두 탑재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성 3호의 개발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으며, 주변국에 대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금성 3호는 Kh-35E '우란' 대함 미사일을 역설계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6월 8일부터 북한이 지대함 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했는데, 한국군은 KH-35E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석했다. 같은 해 11월 8일, NK뉴스는 북한 나진항에서 발견된 최신 초계함의 함수와 함미 사이에 금성-3호 대함미사일이 장착될 것 같다고 보도했다.
금성 3호는 Kh-35E '우란' 대함 미사일을 역설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Kh-35는 미국의 하푼 대함미사일과 유사하여 '하푼스키'라고도 불린다.[1]
2. 역사
금성 3호 미사일은 북한에 수출된 사거리 300km 러시아제 3K24E '우란-E'나 3M24E 미사일로 추정되며, 서방에서는 KN-9으로 불리기도 하며 300mm 다연장 로켓 발사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1]
2. 1. 개발 배경
러시아의 Kh-35 우란 미사일은 2003년에 실전배치되었다. 우란-E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비용대비 효과가 좋은 무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08년에 실전배치된 발(Bal) 해안 미사일 시스템은 4대의 발사대 차량으로 구성되며, 차량마다 8발의 우란 미사일을 탑재해 32발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다. 발사대 차량은 해안에서 최대 10km까지 떨어져 배치할 수 있으며, 사거리는 120km이다. 이후 사거리가 300km인 Kh-35E 미사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금성 3호는 Kh-35E '우란' 대함 미사일을 역설계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7년 미국 첩보위성에 의해 동해상에서 포착되었다. 해안 미사일 시스템으로, 발사대 차량에는 4발의 미사일이 탑재된다. 이는 러시아의 8발과 차이가 있다. Kh-35는 배수량 5천톤급 구축함 등 중대형 함정을 타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최소 11가지의 파생형이 있다.[1]
2. 2. 북한의 도입 및 개량
2015년 농어급 스텔스 고속함에 금성 3호가 장착된 것이 확인되었다.[1] 2017년 미국 첩보위성에 의해 동해상에서 포착되었으며,[1] 같은 해 4월 15일 김일성 생일 기념 열병식에서 4연장 금성 3호 차량이 처음 공개되었다.[1]
북한은 지속적인 시험발사를 통해 금성 3호의 성능을 개량해왔으며, 최대 사거리는 220km에서 300km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
3. 주요 특징
Kh-35와 유사하게 아음속으로 저고도 순항 비행을 하며, 종말 단계에서는 해수면 가까이 밀착 비행(Sea Skimming)하여 요격을 회피한다. 레이더 유도 방식으로 목표물을 추적하며, 능동 및 수동 레이더 시커를 모두 탑재하여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사거리는 260km인 Kh-35U를 카피한 것으로 추정되며, 지대지, 지대함 공격이 가능하다.[1]
3. 1. 제원 (Kh-35U 기준)
3. 2. 성능
금성 3호는 Kh-35E '우란' 대함 미사일을 역설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Kh-35는 길이 3.85m, 무게 480kg(탄두 중량 145kg), 직경 42cm, 속도는 마하 0.8이며, 미국제 하푼 대함미사일과 유사하여 '하푼스키'라고도 불린다.[1] 금성 3호는 Kh-35와 형상이 같아 제원도 거의 같을 것으로 분석된다.[1]금성 3호는 Kh-35와 유사하게 아음속으로 저고도 순항 비행을 하며, 종말 단계에서는 해수면 가까이 밀착 비행(Sea Skimming)하여 요격을 회피한다. 레이더 유도 방식으로 목표물을 추적하며, 능동 및 수동 레이더 시커를 모두 탑재하여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사거리는 260km인 Kh-35U를 카피한 것으로 추정되며, 지대지, 지대함 공격이 가능하다.
4. 핵탄두 탑재 가능성
북한이 금성 3호에 핵탄두를 탑재했다는 공식적인 보도는 없다. 미국의 AGM-84 하푼, 프랑스의 엑조세, 러시아의 Kh-35 등 유사한 대함 미사일도 핵탄두 탑재 여부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미국산 하푼에 핵탄두를 탑재하기 위해 개조했다는 보도가 있었다.[1]
2003년 10월 12일 로스엔젤레스 타임스는 부시 행정부 고위 관료 2명의 발언을 인용해 이스라엘이 돌핀급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미국산 하푼 미사일을 개조하여 핵탄두를 탑재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은 100발 이상의 하푼 미사일을 구매했다. 하푼 제작사인 보잉사 대변인은 하푼에 핵탄두를 탑재하려는 연구를 한 적이 없다고 밝혔지만, 미국의 핵무기 전문가들은 무게 220kg 정도의 핵탄두를 사거리 100km 하푼에 탑재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1]
미국 토마호크 미사일에 탑재되는 W80 핵탄두는 직경 300mm, 무게 130kg, 폭발력 150kt이다. 단순 크기 비교만으로 보면, 금성 3호에도 W80 핵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이 있다.[1]
5. 시험 발사
2017년 6월 8일,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북동 방향으로 최고고도 약 2 km, 비행거리 약 200 km로 시험 발사되었다.[1] 2020년 4월 14일, 오전 7시부터 40분 동안 강원도 문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순항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수 발을 발사했다.[2] 이 날은 김일성 생일인 태양절이자 대한민국의 2020년 총선 하루 전날이었다.[2]
6. 군사적 의의 및 영향
金星3号중국어는 북한이 개발한 지대함 순항미사일로, 조선인민군의 주요 해상 타격 수단 중 하나이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2020년 4월 14일 시험 발사 당시, 이를 미국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을 겨냥한 훈련으로 분석하기도 했다.[2]
하지만, 북한이 탄도 미사일과 방사포를 동해상으로 시험 발사하는 경향을 고려할 때, 금성 3호의 동해 발사가 반드시 미국 항공모함을 목표로 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금성 3호의 원형인 러시아 Kh-35 우란 미사일은 지상 목표물 공격도 가능하다.
6. 1. 주변국에 대한 영향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2020년 4월 14일 북한의 금성 3호 발사와 관련하여, "북한이 함선을 목표로 순항미사일을 쐈다면 유사시 미국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을 타격하는 훈련으로 보인다"며 "공군 전투기가 지원하는 형식이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2]그러나 북한이 서울과 부산을 공격하는 탄도 미사일, 방사포를 모두 동해상으로 시험발사하기 때문에, 순항미사일을 동해로 발사했다고 해서 미국 항공모함을 타격하려는 것으로 추정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은 판단일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금성 3호의 원모델인 러시아 Kh-35 우란 미사일은 대함미사일 뿐만 아니라 지상 목표물 공격도 가능하다.
7. 다른 대함 미사일과의 비교
모델 | 국가 | 직경 | 발사 중량 | 탄두 중량 | 사거리 | 실전 배치 |
---|---|---|---|---|---|---|
R-360 넵튠 | Нептун|넵튠uk | 870kg | 150kg | 300km | 2021년 | |
엑조세 | 348mm | 780kg | 165kg | 200km | 1975년 | |
하푼 | 340mm | 693kg | 231kg | 310.2km | 1977년 | |
SSM-700K 해성 | 540mm | 718kg | 250kg | 200km | 2006년 | |
Kh-35 | 420mm | 610kg | 145kg | 300km | 2003년 | |
금성 3호(KN-19) | 145kg | 250km | 2003년 |
참조
[1]
뉴스
북한, 실전배치 순항미사일 발사…유사시 미군 증원전력 겨냥
연합뉴스
2020-04-14
[2]
뉴스
총선 전날 순항미사일 쏜 북한…"타깃은 美 핵항모인 듯"
중앙일보
202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